p.17 연습문제 바로 윗 문단 마지막

포아타와 슈첸베르거는 .... “발견한 것이다” / “발견했다” 중 어느 것이 맞을까요? 전자는 그 전 문장에서 언급한 맥마흔 정리의 확장이 가지는 함의를 포아타와 슈첸베르거가 충분히 인지하지 못했거나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는 뜻을 암시합니다. 후자는 그냥 “그 확장과 더불어...”라는 뜻이고요.


p.19 연습문제 14 pairs off

괄호 마지막 문장에서 pairs off의 "off"에 특별한 의미가 있을까요(제거, 제외 등).


p.25 up to order

중간 We observed in Section 1.3.3 ~ 문장의 괄호 안에 있는 up to order의 구체적인 의미는?


p.31 연습문제 10 according to가 가리키는 것은?

according to Theorem C는 isn't quite unique를 수식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we can ensure... 를 수식하는 것일까요?


though절(isn't quite unique)을 수식하는 것이 맞습니다. Theorem C의 in the sense 부분, 식 22, Theorem C의 바로 전 줄 모두 unique를 위해 추가 가정이 필요함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노희준

p.64 연습문제 바로 위 문단

trading tails를 일단 “꼬리 맞바꾸기”로 했는데 어떤 용어가 좋을까요?


p.103 연습문제 18 real values

real은 實數인가요 아니면 “실제”인가요? (이를테면 h가 복소수가 될 수도 있는지?)


實數입니다. 적어도 h가 실수가 아닌 복소수일 수는 없습니다. h가 실수가 아닌 복소수라면 대소 비교가 불가능하므로 식의 minimize를 할 수 없습니다. - 노희준

p.108 정리 I의 증명에서 it

증명 첫 문장 ...exchanged with it 의 it은 a_i 인가요 아니면 a larger element인가요?


a_i보다 큰 수가 하나라도 있으면 그 중 제일 큰 것과 a_i를 바꾸게 된다는 것이므로 a_i입니다. --김민식

p.110 그림 16 shic

shic은 아무리 검색해도 안 나오는 단어인데 혹시 sic일까요? 즉, Iverson의 책에 sort가 short라고 잘못 나왔음을 지적하는... (뭐 인덱스의 Joke 항목에 이 페이지가 나오는 것도 아니니 무시해도 무방할 것같습니다만.)


p.122 bounded by the elements

중간의 W. D. Frazer and ..로 시작하는 문단 첫 문장 끝의 괄호 안에 나오는 부분입니다. 이 맥락에서 bounded ~ 는 “~를 경계로 하여”가 맞을까요. 또는 ‘유계’임을 함의하는 표현인가요?


각 element of the sample을 가지고 그보다 큰 것들과 작은 것들로 나누는 것이므로 전자가 맞습니다. --김민식

p.211 식 (10)

식 (10)은 그 앞의 We may take ...의 전제조건인가요 아니면 사후조건인가요?


알파가 complete binary tree이면 식 (10)이 성립하게 되니까 사후조건입니다. --김민식

p.239 연습문제 30의 they

마지막 문장의 they는 두 표준 형식들이 아니라 x_i들을 가리키는 것이겠죠? 즉 x_i들이 항상 같을 때에만...

그리고 이 문장에도 up to order가 나옵니다. 위의 p.25의 사례와 같은 것으로 보입니다...


p.264 연습문제 23의 run들

두 번째 문장의 두 번째 run과 마지막 run(s)는 첫 번째 run과 같은 run이 아닌 것 같습니다. 즉, 첫 번째는 연속열이지만 그 다음 것은 시뮬레이션의 ‘실행’ 또는 제설차의 ‘운행’이 아닌지요...


p.281 첫 문단 마지막 문장 중...

the processing time is $(2n^2+3n)$ initial run lengths는 문법적으로 이상하지 않나요? is 뒤에 복수가 오니까요... 의미상으로도 “처리 시간이 ~개의 ~ 길이들이다.”라는 것은 좀 이상합니다.


p.285 since의 대상

연습문제 바로 위 문단 첫 문장의 since~는 without overlapping~ 의 이유일까요 아니면 essentially equivalent~의 이유일까요?


p.305 before

첫 문단 중간 The run formed at ... 의 before는 ‘이전’(시간)인가요 ‘앞’(공간)인가요?



이하는 5장 연습문제들에 대한 해답들에 관련된 질문

p.593 아르키메데스 입체의 대칭성

해답 10 마지막 문단 밑에서 다섯 째 줄입니다. have symmetries taking any vertex into any other 라는 게 어떤 대칭성인지요... (모든 정점 조합이 대칭일리는 없겠고요.)


p.597 technicality

해답 1 첫 문장의 technicality를 뭐라고 하면 좋을까요? 영한사전 상으로는 “전문적 사항”과 “절차적 문제”가 유력합니다. 그 다음 문장에 언급된 4.6.3절의 합집합 정의가 바로 그 technicality인가요?


p.621 해답 17의 느낌표

해답 17 마지막 문장의 괄호 안 느낌표는 해당 절 전체를 강조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reversing, l-r order, bits 중 하나일까요...(그렇다면 무엇을?)


p.633 해답 29 left

해답 29 끝에서 여섯 째 줄 the left subfile의 left는 ‘왼쪽’인가요 ‘남아 있는’인가요?


"남아있는" 입니다. 비교 횟수의 수렴값을 구하는 문제를 파티셔닝 과정 단계마다 모두 생각해보는 경우를 얘기하고 있습니다. - 전외솔

p.636 해답 48 intermediate identy

계산 도중에 나오는 어떤 항등식을 뜻하는지 아니면 ‘중간 항등식’이라고 할만한 어떤 특정한 용어인지요....(대한수학회 용어집에는 intermediate value, intermediate variable 등의 예가 있음)


p.638 해답 55의 (27) 언급

제시된 코드 아래의 see the remark after (27)은 제시된 코드 전체에 해당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마지막의 STA INPUT+1,2 에만 해당하는 것인가요?


p.646 해답 1의 decided convenience

해답 1 첫 문단 마지막 괄호 안에 나옵니다. “편의상 꼭 필요하다” 정도의 뜻인가요?


그 정도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5.2.4 Algorithm M 바로 앞쪽에서 본문에서 "Some care is necessary when one of two files becomes exhausted;" 라고 말하고 있고, 이런 경우의 처리를 알고리즘에 반영하는 것은 귀찮기 때문에 모든 입력파일이 무한하다라고 정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 전외솔

p.660 when it's one over

해답 16의 when it's one over는 무슨 뜻인가요?


"m이 1이상일때" 정도로 하면 될 것 같습니다. 5.3.2 수식 (22) 다음 단락에서 "m=1 일때는 uncentered binary search 로 reduce 되어버린다"는 얘기로 봐서는 m>1일 경우만으로 국한해서 얘기하고 싶었던 듯 합니다. (정확하게는 m,n 모두 1이상이어야 되지만, 주어가 "it"인 이유는 전체 내용에서 m<=n이기 때문에 n은 구태여 언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일 것 같습니다.) - 전외솔